최고수준인 미국 대비 78.4% 수준으로 평가대상 9개국 중 8위, 기술격차는 4.3년 중국에 기술역전 위기

중국에 기술역전 위기...특용작물 시설과 재배·생산 기술은 세계적 수준

[한국농어촌방송=정양기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농림식품분야의 세계 기술수준이 최고기술보유국인 미국 기술 대비 78.4%로 71.2%인 중국과 비슷한 충격적인 기술수준이며 기술격차는 4.3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4년 대비 기술수준은 2014년 76.1%에서 2.3%p 향상되고, 기술격차는 2014년 5.6년에서 1.3년 감소한 수치다.

특히 식품 기계·시스템 분야와 농생명 에너지자원 분야, 농(산)촌개발 분야, 수의, 농림식품융복합의 기술수준이 상대적으로 가장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 지난해 우리나라 농림식품분야의 세계 기술수준이 최고기술 보유국인 미국 기술 대비 78.4%로 71.2%인 중국과 비슷한 충격적인 기술수준이며 기술격차는 4.3년인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스마트팜 온실.경남농업기술원)

이러한 사실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재수)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원장 오경태)이「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육성법」제16조(기술영향 및 기술수준의 평가)에 따라 지난달 격년제로 실시하고 있는‘2016 농림식품 기술수준평가’결과에서 밝혀졌다,

이번 조사는 한국,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독일, 호주, 중국 등 주요 9개국을 대상으로 「농림식품과학기술분류체계」상의 10대 분야, 32개 중분류, 131개 소분류 기술의 기술수준, 최고기술보유국과의 기술격차, 기술격차 요인 등을 조사했다.

조사 대상인 10대 분야는 ①농산 ②축산 ③산림자원 ④식품 ⑤임산공학 ⑥농림식품 환경생태 ⑦수의 ⑧농림식품기계․시스템 ⑨농림식품경제․사회 ⑩농림식품 융복합 등이었다.

이번 평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농림식품 기술 수준은 미국(100%) 대비 78.4% 수준으로, 일본(95.4%), 독일(92.7%), 네덜란드(90.6%), 영국(88.3%), 프랑스(88.2%), 호주(83.9%), 중국(71.2%) 등 평가대상 주요 9개 국가 중 8위에 그치고, 특히 중국과 기술수준이 비슷해 농림식품분야에서 과학기술 수준이 중국에 역전될 위기에 처해 있다.

10대 분야 중에서는 농산(83.6%), 산림자원(82.3%), 농림식품 경제․사회(80.5%)가 타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술수준이 높은 선도그룹기술수준이(100>a>80)에 속하고 수의(74.8%), 농림식품융복합(73%)은 상대적으로 기술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2개 중분류 기술수준은 특용작물과학이 86.5%로 가장 높았고 산림생산과학이 85.7%, 식량작물과학이 83.5%, 조경이 84.1%로 뒤이어 높은 기술수준을 보였지만, 농생명 에너지 자원이 68.2%로 가장 낮고 식품기계시스템 68%, 농(산)촌 개발·사회·문화 70.2%, 동물 사료·사육 73.1%로 낮은 기술수준의 뒤를 이었다.

아울러 평가대상 분야를 가장 세분화시킨 131개 소분류 가운데 우리나라 기술수준인 78.4% 이하인 분야가 51개 분야로 그중 식품 포장기계·시스템이 62%로 최하위 기술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특용작물 시설은 94.1%, 특용작물 재배‧생산은 89.2%로 세계적인 기술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격차와 관련해서는 소분류 131개 가운데 특용작물시설(1.3년), 소비·유통 정책(1.9년) 등이 가장 적었고, 수의임상(7.4년), 목재화학(7.2년) 등이 기술격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기술보유국과의 기술격차가 발생한 주요 요인은 연구인력 부족(26.1%)으로 조사되었고 인프라 부족(19.4%), 연구비 부족(18.6%) 등이 그 뒤를 이었으며, 중점 추진 정책으로 전문 인력양성(22.4%), 연구개발 자금 확보(17.7%)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 과학기술정책과 홍인기 과장,은 “하반기에는 농생명 소재 발굴‧활용 및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신규 사업을 기획하여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라며 “농림식품분야 R&D 추진체계 및 절차 등 전반을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효율적인 R&D 정책 추진을 통해 농림식품 기술 발전을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