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 ‘귀농·귀촌과 농촌 복지’ 세미나서 밝혀...“지역사회 생태계 유지 기능” 강조

[한국농어촌방송=정양기 기자]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귀농·귀촌인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도시민 49만7386명이 농·어촌 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나 2015년과 비교해 1.9% 증가했다.

특히 이중 30대 이하 젊은 귀농어·귀촌인구 비중이 전체의 51.1%(24만9116명)로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지난해 30대 이하 귀농·귀촌가구는 1340가구로 전년대비 16.5% 크게 증가했고, 여성 귀농·귀촌가구도 4145명으로 13.2%나 늘었다.

이 같은 현상은 최근 계속되는 저성장 기조에 따른 고용 불안정과 청장년층의 취업난, 전세난 등으로 농촌생활을 선택한 이들이 증가한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 최근 급증하고 있는 귀농·귀촌에 대해 단순한 인구증가가 아닌 농촌 지역공동체의 재조직화 차원에서 정부의 정책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사진=귀농귀촌종합센터)

이러한 귀농·귀촌 인구 증가세는 향후 5년간 계속 늘어나 2021년 귀농가구는 2015년보다 17.2% 증가한 약 1만 4,000가구가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귀농·귀촌에 대해 단순한 인구증가가 아닌 농촌 지역공동체의 재조직화 차원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같은 사실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창길. 이하 농경원)이 11일 농어촌복지포럼과 함께 개최한 ‘귀농·귀촌과 농촌 복지’ 학술세미나에서 나왔다.

이날 세미나에서 박대식 농경원(KREI) 선임연구위원은 ‘귀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발표를 통해 “귀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살펴보면, 귀농·귀촌이 단순한 인구의 증가가 아니라 지역사회 생태계를 유지하게 하는 기제로 작용하는 긍정적 영향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귀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존 주민과 귀농·귀촌인의 갈등 해소·협력 강화 등에 초점을 맞춘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농지 부족, 농지 규모화 등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정책적 대응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상진 KREI 연구위원은 ‘귀농·귀촌인의 지역사회 참여와 재능 활용’이라는 발표를 통해 “다양한 재능과 전문성을 귀농·귀촌인이 지역사회에 잘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가장 큰 장애요인인 정보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지자체 단위의 일자리 중개 및 개발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사회적 경제 조직을 활성화시키는 것도 해결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김정섭 KREI 연구위원은 ‘농촌 지역공동체의 재조직과 귀농·귀촌: 사회자본론의 관점에서’라는 제목의 발표를 통해 “귀농‧귀촌인이 농촌 지역공동체 내의 사회 연결망 구조에 어떤 방식으로 편입되며,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따라 농촌 지역공동체 내부의 재조직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귀농‧귀촌과 관련된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정책들이 귀농‧귀촌인 개인에 대한 지원과 조력이라는 관점을 넘어서, 농촌 지역공동체의 재조직화라는 사회적인 관점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