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 영업이익률 최근 5년간 4%에서 5%로 큰 변동 없음에도 가격인상 단행해

[한국농어촌방송=노하빈 기자] 농심은 지난 2016년에 이어 2년 4개월 만에 또다시 가격 인상 카드를 꺼내 들었다.

라면 시장 점유율 56.2%(17년 기준)로 압도적 1위 업체인 농심은 지난 11월 16일부터 기존 인기 스낵인 새우깡(6.4%), 양파링·꿀꽈배기·자갈치·조청유과 (6.1%), 프레칠(7.4%) 출고가를 인상하였다. 업체 측은 제조원가 및 판매관리비의 상승이 원인이라고 꼽았다.

(사진=소비자단체협의회)

이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강정화) 물가감시센터는 재무제표 검토 결과를 토대로 가격 인상이 적정한지 분석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국내 라면 시장 규모는 2조1613억 원이다. 농심은 2016년 12월에 라면 가격을 평균 5.5% 인상했음에도 불구하고, 2016년 매출이 2조2170억 원에서 2017년 2조2083억 원으로 0.4% 소폭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2014년 대비 2018년 3분기 라면 시장 점유율 하락분이 7.3%p 하락하였으며, 이 하락분인 약 1500억 원을 이번 스낵 가격 인상을 통해 충당하려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이 제기된다.

또한 2014년부터 2018년 3분기 현재까지, 농심의 영업이익률을 살펴보면 4%에서 5%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전 가격 인상이 반영되는 시기인 2017년의 영업이익률또한 전년과 동일한 것으로 보아 가격 인상 카드가 영업이익률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농심은 인상의 요인을 제조원가와 판매관리비의 상승을 들었으나, 이는 소비자가 납득하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됐다. 우선 제조원가의 경우, 매출원가율이 2014년 71%, 2015년 69%, 2016년 68%, 2017년 67%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판매관리비의 경우 광고선전비 항목이 2014년 723억 원에서 2017년 1047억 원으로 약 44.7% 증가한 것으로 분석돼 광고비에 높은 지출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광고비 100만 원 당 매출액 추이를 살펴보면 2014년 2823만 원에서 2017년 2110만 원으로 25.3% 하락하여 높은 광고비 지출에도 매출 상승의 효과는 미비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농심이 주장한 제조원가와 판매관리비 상승으로 인한 가격 인상 근거는 타당성이 부족해 보여 소비자들이 이번 가격 인상 단행에 대해 납득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농심이 지금이라도 소비자들과 함께 상생할 수 있는 가격전략을 채택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