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발굴 항일독립운동가 전수조사 최종보고
1927년 김기정 징토사건·3대 독립운동 사례도
통영시 정부포상과 서훈 신청 등 적극 추진

통영시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실시한 통영의 항일독립운동가 발굴 조사에서 찾아낸 일제강점기 한산면 범죄인 명부.(사진=통영시)
통영시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실시한 통영의 항일독립운동가 발굴 조사에서 찾아낸 일제강점기 한산면 범죄인 명부.(사진=통영시)

[한국농어촌방송/경남=강현일 기자] 통영시(시장 강석주)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통영의 항일독립운동가 발굴 조사를 한 결과, 독립운동가 176명을 새로 발굴했다.

여기에는 “조선 사람에게 교육은 필요치 않다”는 망언을 한 김기정 도평의원을 징토한 일명 1927년 ‘김기정 징토사건’ 미포상자와 일제강점기 내내 3대가 독립운동에 헌신한 집안도 포함됐다.

통영시로부터 ‘통영시 미발굴 독립운동가 전수조사 학술연구용역’을 의뢰받은 (사)대한민국지식중심 박철규 상임이사(현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장, 연구원 김상현·이진우)는 지난 12일 통영시청 회의실에서 최종보고회를 갖고, 그동안의 발굴 성과를 발표했다.

그동안 통영지역의 항일독립운동에 참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자료를 찾지 못하거나 서훈을 받지 못한 미발굴 항일독립운동가에 대한 제보 창구를 통영시에 개설하는 한편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역사기록관)에서 판결문, 형사사건부, 용의조선인명부 등 행형기록을 조사색인하고, 통영시 읍면동에 소장하고 있는 일제강점기 범죄인명부, 수형인명부를 파악하는 등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헌자료 1812건, 행형기록(行刑記錄) 753건, 통영소재 범죄인명부 수록 2057명과 국립기록원 부산기록관 자료 비교 검토 등을 통해 항일독립운동사실을 확인한 인물은 총 267명이다. 이 가운데 기포상자 등을 제외하면 항일독립운동가로 발굴 가능성이 있는 인물은 176명으로 파악됐다.

특히 1919년 통영지역 3.1운동 활동자로 확인된 37명 가운데 미포상자가 10여 명, 1927년 김기정 규탄운동 관련자 35명 가운데 16명이 포상을 받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1927년 김기정 징토사건은 “조선 사람에게는 교육이 필요치 않다. 보통학교만 나오면 사상이 악화되어 불량한 짓을 하고 사회운동의 선봉이 된다”는 친일 망언을 한 김기정 경남도평의회 의원에 대해 규탄대회, 김기정의 집 및 통영경찰서 점거 등을 펼친 통영의 대표적인 항일독립운동이다.

이에 박봉삼(항일운동 지도자), 이태원(징역 10월), 최천(징역 6월 집행유예 3년) 등은 그 공헌을 인정받아 이미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 받았다.

이번 전수조사에서는 김동근(통영면 길야정)의 경우 김기정 징토사건과 관련 1928년 대구복심법원에서 ‘소요 상해’죄로 징역 1년 실형(미결구류 통산 90일)을 선고 받아 복역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김상훈(통영면 명정리) 역시 1928년 대구복심법원에서 ‘소요 상해’죄로 징역 10월(미결구류 통산 90일)을 선고받았다.

김동근과 김상훈은 판결문은 물론 형사사건부, 형사항소사건부, 수형인명부 등 각종 증빙 자료가 함께 확인되었다.

판결문 등을 통해 ‘김기정규탄대회에서 구속자 석방을 위한 시민궐기대회 개최로 불교포교원에서 회합하여 석방 내용물을 제작 ․ 배포하였고, 김기정의 집과 통영경찰서 등을 점거하고 석방집회를 개최하였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일제 강점기 내내 독립운동에 헌신한 허씨 집안 3대의 항일독립운동 사실도 추가 발굴되었다. 허언의 후손인 허씨 일가는 허언의 5남인 허승완(일명 허승환·1894년생), 7남인 허장완(1899년생)은 이미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으며, 이번에 허승완의 아들 허창일(1913년생)과 허언의 손자(장남 허성완의 아들) 허지오(1915년생)의 항일독립운동 사실을 추가 확인하였다.

허승완은 1910년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하고 1922년 러시아 군대에 의해 무장해제당한 독립군 부대들을 수습해 고려혁명군을 조직 특립대장으로 활동하였고, 1923년 의열단 대표 자격으로 일제에 대한 연합 투쟁을 벌였으며, 1924년 대한신정부 혁명군의 2중대장으로 활동하였다.

허장완은 1919년 3월 9일 통영읍내 독립만세운동 거사를 위해 통영 산양면사무소 등사판을 이용해 격문 1,200여 매를 등사한 후 등사판을 반환하러 갔다가 일경에 체포되어 징역 6개월을 받고 복역하다가 마산형무소에서 옥중 순국하였다.

이번 전수조사에서 허승완의 장남인 허창일은 1944년 육군형법 위반과 조선임시보안령 위반으로 징역 10월(형사사건부, 수형인명부) 복역이 확인되었으며, 1931년 고등경찰관계적록(高等警察關係摘錄) ‘항일강좌’에 명시된 허창유 역시 허창일일 가능성이 높다.

허언의 손자 허지오 역시 1930년 ‘대정8년 제령 제7호 위반’혐의를 받았다. 대정8년 제령 제7호 위반은 1919년(대정8년) 3.1독립만세운동으로 타격을 받은 일제가 독립운동을 탄압할 법 ․ 행정 근거로 마련,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하는 주요 근거가 되었다.

박철규 (사)대한민국지식중심 상임이사는 “그동안 통영지역 독립운동은 1919년 3.1만세운동과 1927년 김기정 징토사건을 중심으로만 알려졌다. 이번 전수조사를 통해 3.1운동 직후 40명, 1927년 김기정 징토사건 이후 39명, 1930년대 출판물 및 치안유지법 등 13명, 1940년대 태평양전쟁 전후와 8.15 해방 직후 64명 등 일제강점기 내내 당시 통영군민의 치열하고 지속적인 독립운동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이 가장 큰 성과”라고 밝혔다.

강석주 통영시장은 “통영은 수많은 예술인을 품고 있는 예술의 도시이자, 왜적으로부터 나라를 지켜낸 구국의 도시이기도 하다. 통영은 3.1만세운동 이후 일제 강점기 내내 통영청년단과 신간회 통영지회의 활동, 1927년 김기정 징토운동 등 항일운동의 중심지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6.25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독립운동관련 기록이 소실되거나 훼손되어 역사에 묻히는 안타까운 현실이었다. 이번 전수조사에서 176명에 달하는 독립운동가를 발굴한 사실은 매우 대단한 성과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이번에 발굴한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이 최대한 예우를 받을 수 있도록 정부포상과 서훈 신청 등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앞서 김미옥 통영시의회 기획총무위원장은 2018년 9월 21일 제88회 통영시의회 정례회에서 ‘통영 3.1독립만세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의 필요성과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통영지역 독립유공자의 희생과 공헌을 발굴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통영시도 2018년 12월 기준 우리나라 전체 독립유공자 훈포상자 1만5180명 가운데 통영출신 훈포상자는 68명으로, 통영지역에서 치열하게 펼쳐진 항일독립운동에 비해 적어 독립운동가에 대한 연구와 수집 자료가 매우 부족하다는 판단에서 용역을 의뢰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