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시의원 국공립어린이집 감사 권한 갖는 상임위 소속
진주시 논란 일자 선정업체명칭 개인에서 법인으로 변경해
시의원과 배우자 사이 이해충돌의 문제 발생 소지 있어
해당 시의원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업체 공모과정 외압 의혹도

지난 11일 진주시 홈페이지에 공고에 게시된 진주시의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체 선정결과 정정공공문. 당초 A시의원의 배우자가 위탁운영체로 명시됐지만, 논란이 일자 법인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이에 대해 진주시는 단순 표기오류라고 설명했다.
지난 11일 진주시 홈페이지에 공고에 게시된 진주시의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체 선정결과 정정공공문. 당초 A시의원의 배우자가 위탁운영체로 명시됐지만, 논란이 일자 법인으로 명칭이 변경됐다. 이에 대해 진주시는 단순 표기오류라고 설명했다.

[한국농어촌방송/경남=강정태 기자] 현직 진주시의원 배우자가 진주시의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체 공모에서 어린이집 원장으로 내정돼 논란이 되고 있다.

더욱이 해당 시의원은 국공립어린이집 위탁 공모 담당 부서의 감사 권한을 가진 상임위원회에 소속돼 있어 이번 위탁운영체 선정에 압력 행사가 있었을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게다가 진주시도 이런 논란이 일자 선정된 위탁운영체 명칭을 급하게 개인에서 단체로 정정해 재공고하는 등의 행보를 보여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14일 진주시 등에 따르면 진주시는 지난 6월 26일 국공립어린이집 2곳에 대해 신규 위탁운영체를 모집했다. 이에 A시의원의 배우자인 B씨를 원장 내정자로 채용한 경남사회서비스원에서 7월 15일 진주시에 공모신청을 했다.

이후 7월 21일 B씨는 진주시 보육정책위원회의 면접 심사에서 어린이집 운영 부분 등을 발표했으며, 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22일 진주시의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체 원장 내정자로 최종 선정됐다. 진주시의 최초 결정 공고문에는 응시번호 2번인 B씨의 이름이 명시됐다.

선정자 발표 이후 B씨는 A시의원의 배우자이며 A시의원이 이번 공모 담당 부서의 감사 권한을 가진 상임위 소속으로 알려지면서 공모과정에 외압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진주시의회 등 지역 정가에서는 ‘배우자가 직접 설명회를 했는데 진주시 담당 국장이 있는 자리에서 입김이 안 들어갈 수가 있나’, ‘누가 봐도 의심을 살만한 일’ 등의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진주시 관계자는 “공모과정에서 외압은 전혀 없었다. 저희는 경남사회서비스원 법인 단체의 공모에 대해 심사를 진행한 것이지 개인과 위탁계약을 한 것이 아니기에 서류접수과정에서 시의원의 배우자인지 알 수가 없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진주시는 지난 7월 22일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체 선정결과에 대해 당초 B씨 개인을 명시해뒀지만 최근 논란이 일자 지난 11일 정정공고문을 내고 위탁운영체를 개인에서 ‘경남사회서비스원’으로 재공고해 논란은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진주시는 단순 명칭 표기오류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경남사회서비스원에서 진주시의 국공립어린이집 위탁운영체 선정에 수탁 되기 위해 진주시의원 아내인 B씨를 채용했다는 의혹도 들고 있다.

이에 대해 경남사회서비스원은 지도·감독 기관인 경남도에 문의하라고 전했으며, 경남도 관계자는 “해당 공모에서 경남사회서비스원은 원장 내정자 채용과정에서 외부업체에 의뢰해 4~5단계의 엄격한 채용과정을 거쳐 채용해 국공립어린이집 위탁공모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어 “진주시의 위탁 공모 절차에서도 법인인 경남사회서비스원에서 운영계획서를 작성하고 모든 책임도 지게 된다. 원장 내정자는 공모과정에서 어린이집 운영 부분에 대해서만 작성해서 발표했다”고 말했다.

배우자의 어린이집 원장 내정과 관련해 본지는 해당 시의원에게 반론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전화를 걸고 문자를 남겼지만, 답변을 들을 수 없었다.

진주시의회에서는 이번 사안에 대해 해당 시의원이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지켜보고 판단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진주시는 이런 의혹이 제기되는 가운데 국공립어린이집 선정을 위해 개최한 보육정책운영위원회 회의록과 접수된 서류의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

국공립어린이집 수탁자를 결정하는 보육정책위원회는 시 복지여성국장 등 당연직 1명과 공무원 1명,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시민단체, 학부모 등 15명으로 구성되며, 당연직 외 공무원을 포함한 14명 위원은 비공개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