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서울대 연구팀, 플라즈마 물에 처리해 활성화..."기존 기술보다 안전하고 손쉬워"

[한국농어촌방송=차현주 기자] 페트병이나 음식물 등에 존재하는 대장균, 박테리아 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최원호 KAIST 물리학과 교수와 조철훈 서울대 교수 공동 연구팀은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를 통해 대장균, 박테리아 등 일명 바이오필름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KAIST 최원회 교수팀. 맨위 박상후 박사, 아래 왼쪽 박주영 박사과정, 오른쪽 최원호 교수 (사진=카이스트)
이는 플라즈마를 물에 처리해 활성화시켜 발생하는 화학반응을 이용해 대장균, 박테리아 등 바이오필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기존 기술보다 안전하고 손쉬워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플라즈마는 에너지 및 환경 분야부터 생의학 분야까지 다양한 연구와 산업분야에 응용되고 있고 플라즈마의 반응성 및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들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 중이다.
 
대기압 플라즈마는 대기 중에서 여러 형태로 플라즈마 및 2차 생성물을 방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번개도 플라즈마의 일종인데 번개를 통해 공기 중 질소가 질소화합물이 돼 땅 속에 스며들어 토양을 비옥하게 만드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최근에는 의료기술·식품·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살균을 목적으로 한 활성화·기능화 등의 측면에서 대기압 플라즈마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기압 플라즈마로부터 발생하는 활성종의 종류·밀도·역할 등은 현재까지도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기술을 적용하는 데 큰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플라즈마를 물에 처리시켜 수용액으로 만들어 대장균, 살모넬라, 리스테리아 등 유해한 미생물이 겹겹이 쌓여 막을 이룬 형태를 뜻하는 바이오필름을 제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플라즈마로 수산기를 최대한 많이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까지 이어나갈 예정이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플라즈마 제어 기술과 플라즈마-미생물 간 물리화학적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의학, 농업, 식품 분야에서의 플라즈마 기술의 활용이 가속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