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20~30대 젊은여성, 정부 사칭형 사기 주 표적"

[한국농어촌방송=차현주 기자] 지난해 대포통장 발생 건수는 줄었지만 보이스피싱 피해건수와 피해액은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가상통화 등 신종 수법이 등장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감독원(원장 최흥식)은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총 2423억원으로 전년 대비 499억원 늘어 26%가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금감원은 "가상통화를 피해금 인출수단으로 악용하는 등 신종 수법의 등장으로 대출빙자형 피해가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2017년 하반기 들어 148억원이 가상통화로 악용됐는데, 이는 전체 보이스피싱 피해액 증가분(499억원)의 30%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또 건당 피해금은 1137만원으로 전체 보이스피싱 건당 피해금 485만원보다 2.3배나 많다.
 
반면 지난해 대포통장 발생 건수는 4만 5422건으로 은행권의 FDS(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 및 모니터링 강화 등에 힘입어 전년 대비 2.6% 감소했다.
 
2017년 보이스피싱 및 대포통장 사기 현황 (자료=금융감독원)
보이스피싱 사기범들은 피해금을 현금화시키기 위해 기존 대포통장 대신 가상통화를 악용하는 수법을 주로 썼다.
 
가상통화는 금융권의 의심거래 모니터링 및 자동화기기 인출 제한(1일 600만원, 100만원 이상 입금시 30분간 지연 인출)이 적용되지 않아 거액의 출금이 가능하며, 자금추적이 어렵다는 점을 악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10월 금감원은 소비자경보를 발령했으나 12월에는 피해자 한 명에게 8억원의 피해가 발생하는 등 2017년 하반기 들어 가상통화 취급업소로 송금된 피해액이 148억원에 달한다.
 
특히 서민들의 자금수요를 악용해 저금리 대환대출을 빙자, 기존 대출원금을 편취하는 수법으로 가로챈 금액이 전체 피해액의 74.5%를 차지하는 등 대출빙자형 사기가 급증했다.
 
대출빙자형 사기의 피해자로는 대출 수요가 많은 40~50대가 전체 피해자 대비 62.5%, 피해액대비 66.0%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반면 정부기관을 사칭한 사기는 20~30대 젊은 여성이 주 표적이었다.
 
정부기관사칭형 사기는 최근 3년간 피해건수가 크게 감소했으나 교사와 간호사, 비정규직 젊은 여성을 주 대상이 되어 피해금액은 건당 803만원으로 오히려 크게 증가했다.
 
금감원은 "젊은 여성은 결혼자금 등 목돈을 모았을 가능성이 높고, 사회 초년생으로 사기에 대한 경험이 적은 상황에서 신분상 불이익 등을 우려해 사기범에게 쉽게 속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금융회사에 가상통화 거래 계좌가 보이스피싱에 악용되지 않도록 FDS 및 모니터링 등을 강화하도록 지도할 예정이다.
 
특히 젊은 여성이 자주 찾는 인터넷 포털 및 SNS 등 온라인 매체를 활용해 정부기관 사칭형 사기를 집중 홍보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