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작물 영상 분석시설 구축 및 기반기술 개발 박차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노지 밭작물의 디지털 농업 확대·적용을 위한 디지털 영상 분석시설 구축과 영상진단기술 개발 현황을 소개했다.

최근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고령화, 식량문제 해결 및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대안으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디지털 농업이 부상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까지는 시설원예 중심으로 디지털 농업 기술이 개발돼왔으며, 전체 농경지 면적의 85.6%를 차지하는 노지작물에 대한 데이터(자료)  수집 및 분석기술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었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2020년 작물영상(분광) 분석 연구동을 신축해 노지작물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농업 기술인 영상진단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동 전경
연구동 전경

 작물 영상 분석 연구동은 총면적 760m2(230평)의 온실로, 밭작물의 영상데이터 구축과 표준화, 재배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진단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영상진단기술은 가뭄, 과습 등 다양한 자연재해 상황을 설정해 작물의 생육 및 피해 정도를 산정, 이를 디지털화 및 표준화하여 실제 작물에 적용해 양·수분 상태, 병, 약해 등을 영상으로 신속하게 진단하는 기술이다.

 총 4개로 이루어진 각 시험 구획(cell)에는 RGB RGB카메라는 3개의 가시광선 색상 영역(Red, Green, Blue)으로 영상을 나타낸다.
다중분광, 초분광(400∼1,700nm) 초분광카메라는 입사되는 빛을 분광을 통한 수백~수천 개의 정보로 측정한다. 물질의 고유한 광학적 성질과 흡수 및 반사 특징을 분석할 수 있으며, 열화상 카메라 감지기(센서)가 장착돼있어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작물 생육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생육시기별 가뭄 처리에 따른 콩의 생육
생육시기별 가뭄 처리에 따른 콩의 생육

 

지난 1년간의 연구를 통해 가뭄·과습에 따른 콩 생육 영상 데이터를 구축했으며, 올해에는 양분 결핍과 과잉, 병·제초제 피해 진단 연구를 수행한다. 
현재 충북 괴산군 콩 재배지에서 농작업기계화, 물관리, 드론방제, 디지털 트랩 등의 개별 기술을 투입한 노지 디지털 농가 현장 실증시험이 진행 중이며, 추후 영상진단기술도 적용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생산기술개발과 박기도 과장은 “작물영상 분석 연구동 구축으로 노지 디지털 농업 연구의 기술 개발 및 현장 적용을 더 강화할 계획이다.”라며, 
 “농가에서도 작물의 생육을 빠르게 진단, 관리할 수 있도록 통합진단 시스템 및 감지기 개발에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