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

황성신문 기사 (덕수궁 중명전 전시)
황성신문 기사 (덕수궁 중명전 전시)

1905년 11월 20일 월요일 새벽에 <황성신문>이 경성 곳곳에 배포되었다. 신문에는 주필이자 사장인 장지연(1864~1921)이 쓴 사설 ‘오늘이 목 놓아 통곡할 날이요!(시일야방성대곡 是日也放聲大哭)’와 ‘오건조약 청체전말 五件條約 請締顚末(5조약 체결 전말)’이 함께 실렸다.  

먼저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 사설을 읽어보자.

“지난번 이토 히로부미 후작이 내한 했을 때 어리석은 우리 인민들은 서로 말하기를, ‘후작은 평소 동양 삼국의 정족(鼎足) 안녕을 자임하여 주선하던 사람인지라. 오늘 내한함이 필경은 우리나라의 독립을 공고히  할 방책을 권고키 위한 것이리라.’하여 인천항에서 서울에 이르기까지 관민상하가 환영하여 마지않았다. 

그러나 천하 일은 헤아릴 수 없는 것이 많도다. 천만 뜻밖에 5조약이 어찌하여 제출되었는가. 이 조약은 비단 우리 한국뿐만 아니라 동양 삼국이 분열을 빚어낼 조짐인즉, 그렇다면 이등 후작의 본뜻이 어디에 있었던가?

그러나 우리 황제 폐하께서는 강경하신 뜻으로 거절하였으니, 이 조약이 불성립함은 이토 후작 스스로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오호라, 슬프도다! 저 개돼지만도 못한 소위 정부 대신이란 자들은 자기 일신의 영달과 이익이나 바라면서, 거짓 위협에 겁먹고 머뭇대거나 벌벌 떨면서 나라를 팔아먹는 도적이 되기를 감수하였다. 


아, 4천 년의 강토와 5백 년의 종묘사직을 남의 나라에게 바치고, 2천만 생령을 남의 노예로 만들었으니, 저 개돼지보다 못한 외부대신 박제순과 각 대신들이야 심하게 꾸짖을 것도 없지만, 명색이 참정(參政) 대신이란 자는 정부의 우두머리임에도 단지 ‘부(否)’자로 책임을 면하여 명예를 구하는 밑천으로 삼으려 했더란 말이냐.

김청음(金淸陰: 병자호란때 김상헌)처럼 통곡하며 문서를 찢지도 못했고, 정동계(鄭桐溪 : 병자호란 때 정온)처럼 할복하지도 못해 그저 살아남고자 했으니 그 무슨 면목으로 강경하신 황제 폐하를 뵈올 것이며 그 무슨 면목으로 2천만 동포와 얼굴을 맞댈 것인가.

아! 원통한지고, 아! 분한지고. 우리 2천만 동포여, 노예 된 동포여! 살았는가, 죽었는가. 단군, 기자 이래 4천년 국민정신이 하룻밤 사이에 홀연 망하여 멎어 버렸는가. 아! 원통하고 원통하도다. 동포여! 동포여!”

당초에 <황성신문>은 일본의 사전 검열로 발행될 수 없는 상황이었다.  1904년에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일본군 사령부는 군사와 관계가 있다는 핑계로 검열을 시작했다. 그후 마루야마가 경무 고문이 되자 일본 경찰 한 명을 전속 검열관으로 배치했으며, 조금이라도 일본인의 비위를 거스리면 금지시켰다. 을사보호조약은 보도 자체를 금지시켰다. 

그런데 <황성신문> 사장 장지연은 나라의 존망에 관계되는 중대한 조약이 체결되었음에도 사실을 보도하지 않으면 교활한 일본인이 조약을 만장일치로 동의한 것으로 천하를 기만할 것이라면서, 죽을지언정 묵인할 수 없다면서 직접 사설을 썼다. 신문은 평소의 발행 부수 3,000부를 1만 부로 늘려 인쇄했고, 배달부로 하여금 각 가정과 기관에 빠짐없이 배달시키고 자신들은 밤새 술을 마시며 경찰의 체포를 기다렸다.  
(박은식 지음 · 김승일 옮김, 한국통사, 범우사, p 329-331)  


20일 아침에 일본 경찰은 신문사를 급습해 곧바로 신문 회수 작업에 나섰다. 발행된 1만부 중 서울에서 800부를 회수하고, 지방으로 보낼 2,288부를 압수했다. 

또 일본 경찰은 <황성신문>이 경무청 검열도 받지 않고 신문을 발행한 것을 문제 삼아 장지연 등 10여 명을 체포하고 <황성신문>을 무기 정간하였다. 장지연은 3개월간 투옥되었다가 풀려났고, <황성신문>은 1906년 2월에야 속간될 수 있었다. 

한편 해가 뜨자마자 <황성신문>을 본 시민들은 울분과 허탈에 쌓였다. 대한제국이 하루아침에 외교권을 빼앗긴 일본의 보호국 신세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날 경성의 번화가 종로의 풍경은 을씨년스러웠다.

“맵게 몰아치는 11월 하순의 음산한 찬바람이 옷자락을 마구 흔드는데, 여러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큰 소리로 신문을 읽던 중년 선비가 방금 읽은 <황성신문>을 손아귀에 움켜쥐고 외쳤다. 
‘그렇소! 오늘이야말로 목을 놓아 울 때요! 참으로 목 놓아 크게 울어야 할 때요! 그러나 운다고 무엇이 달라지겠소! 나는 결코 울지않으리다!’
(중략) 무리 속에 있는 장년의 사내가 크게 대꾸했다. 
‘그렇지요! 울어서 국사(國事)가 바로 잡힌다면야 오늘 우리 국민 그 누가 방성대곡을 아끼겠소.’ 
그런데 말은 그리하고 있지만 그들의 눈에서는 뜨거운 눈물이 줄줄 흘러내렸다.” (송우혜, 스스로 운명 개척 못 한 대한제국, 조선일보, 2004년 10월20일 : 강준만 지음, 한국 근대사 산책 4, p 172에서 재인용)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