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체험농장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예비귀농귀촌인들 [한국농어촌방송]
귀농귀촌 체험농장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예비귀농귀촌인들 [한국농어촌방송]

 

[한국농어촌방송=김도하 기자]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가 전년보다 4.2%p 늘어난 데 이어 관련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어촌으로 돌아온 귀어인 역시 전년 대비 25.7%p 증가했습니다.

이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취업난과 가계부채 증가 등 사회·경제적 여파와 도시주택 가격 상승, 농어촌에 대한 관심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23일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가 공동 발표한 '2021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 인구는 51만 5천434명으로 전년(49만 4천569명)보다 2만 865명(4.2%) 늘었으며 역대 최대로 집계됐습니다.

귀농인은 같은 지역에서 읍면 지역으로 이사한 사람 중 농사를 짓는 사람, 이 중 농사를 짓지 않는 사람은 귀촌인으로 구분합니다.

농식품부는 귀농·귀촌 가구가 전 연령대에서 증가한 가운데 30대 이하와 60대 가구가 지난해보다 각각 5.0%p, 16.4%p 늘어나며 증가세를 견인했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30대 이하 귀농 가구 수는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청년들의 귀농이 늘고 있는 것은 농촌에 대한 인식 변화와 영농정착지원사업 등 정부 정책이 한 몫하고 있는 것으로 농식품부는 풀이했습니다.

60대의 귀농 증가세는 도시에 거주하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은퇴가 본격화된 영향으로 분석됐습니다.

귀농 인구가 많은 시·군은 경북 의성군(229명), 전남 고흥군(224명), 경북 상주시(212명), 경북 영천시(182명), 경기 양평군·전남 무안군·경북 김천시(각 173명) 등의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들 지역은 귀농과 관련한 지자체의 정책적 지원이 활발하고 농지 가격이 다른 지역보다 낮아 영농 기반을 마련하기에 용이하다는 분석입니다.

귀촌 사유로는 직업(34.3%), 주택(27.1%), 가족(22.2%), 자연환경(4.9%) 등의 순으로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젊은 층일수록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귀촌한다는 비율이 높았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주택'이 귀촌 동기라는 응답률이 높았습니다.

농식품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을 보완해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먼저 농촌생활을 사전에 경험할 수 있는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과 도시민을 대상으로 한 '농업 일자리 탐색형 교육' 규모를 확대합니다.

아울러 영농정착지원금을 받는 청년 귀농인 규모를 지난해 1천800명에서 올해 2천명으로 늘리고, 올해 하반기에는 청년농의 준비·창업·성장 전 과정을 지원하는 '제1차 청년농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귀어 인구 역시 지난해 1천216명이 어촌으로 돌아와 전년(967명)보다 249명(25.7%)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귀어인 평균 연령은 52.7세로 전년 52.9세보다 0.2세 낮아졌으며, 40대 이하 청년층은 34.2%(416명)로 전년 대비 0.5%p(90명) 증가했습니다.

귀어인이 많은 지역은 충남 태안군(186명), 전남 신안군(121명), 충남 보령시(106명), 인천 옹진군(89명), 전북 부안군(62명) 등의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작년 귀어 인구가 증가한 것은 코로나19에 따른 전원생활 수요 증가, 수도권 주거비 상승 등 외부적 요인과 정부의 지원정책이 맞물린 결과로 해수부는 분석했습니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귀어를 희망하는 청년들에게 창업·주택 구매 비용, 정착금, 어선 임대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확대해 어촌지역 인구 유입을 늘리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