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조원 세계 실뱀장어 시장 선점, 연간 4천억 경제효과 수산업 미래산업화 전망

[한국농어촌방송=정양기 기자]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뱀장어 완전양식’ 기술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대량생산 기술까지 확보하게 되는 2020년부터는 4조원 규모의 세계 실뱀장어 시장 선점은 물론, 한국 ‘수산업의 미래산업화’ 전망을 더욱 밝게 해주고 있다.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 국립수산과학원(원장 강준석)은 2008년부터 추진해 온 양식 유망 품목 연구개발에 대해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따라 집중 투자한 결과 이 같은 획기적인 성과를 달성했다고 21일 밝혔다.

뱀장어 완전양식 기술이란 수정란으로부터 부화시켜 기른 어린 뱀장어(실뱀장어)를 어미로 키워서 다시 수정란 및 자어를 생산하는 단계까지의 체계를 구축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현재 뱀장어 양식의 경우는 자연산 뱀장어 종자를 채포(1∼3월)하여 양식장에서 7~10개월간 사육하여 출하하는 불완전양식에 의존해 오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2008년부터 뱀장어 인공 종자생산 연구를 추진한 이후 2012년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공 종자인 실뱀장어로 키워낸 뒤 지난 4년 간 육성 과정을 통하여 어미 뱀장어로 성장시키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지난 5월 7일 어미 뱀장어로부터 인공 2세대 뱀장어 10만여 마리를 얻는 데 성공하여 마침내 일본에 이어 세계 2번째로 뱀장어 완전양식 기술 개발의 꿈을 이룰 수 있었다.

우리나라 뱀장어 생산액은 약 2,500억원(약 9,000톤) 규모로 양식어류 중 넙치(5,040억원)에 이어 2위이다. 하지만 자연산 실뱀장어의 확보가 어려워 양식에 사용되는 실뱀장어의 60∼9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매년 해외에서 뱀장어 성어 1,500톤 내외를 수입하고 있다.

뱀장어는 우리나라에서 약 3,000km 떨어진 태평양의 수심 300m 바다에서 산란하여 약 6개월 동안 성장한 후 우리나라 강으로 올라온다. 현재 뱀장어 양식은 이러한 실뱀장어를 잡아서 키우는 형태로 자연 자원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남획 및 해양환경 변화 등으로 실뱀장어 어획량 변동이 심해 공급량과 가격이 불안정한 상황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주로 소비하는 종인 극동산 뱀장어(Anguilla japonica)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의 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의 국제 무역거래 제한 품목으로 등재하려는 국제적 움직임이 있어 실뱀장어 인공 생산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유럽산 민물장어(Anguilla anguilla)는 2013년부터 CITES(부속서 Ⅱ)에 등재된 상태다.

일본, 유럽연합, 미국 등도 뱀장어류 인공종자 생산연구에 열중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일본만 연구 시작 36년만인 2010년에 뱀장어 완전양식에 성공했을 뿐, 아직까지 대량 인공종자 생산에 성공한 국가는 없다.

향후 실뱀장어 대량생산 기술을 확보하여 현재 국내 수입 물량(실뱀장어 20톤)을 직접 생산하게 되면 약 4,000억원(국내 입식량 20톤 기준)의 경제적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뱀장어 주요 소비국인 중국과 일본 등에 수출하여 4조원 규모(실뱀장어 가격 2천만원/kg × 입식량 200톤)의 세계 실뱀장어 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윤학배 해양수산부차관은 “연구역량을 총동원하여 2020년까지 인공 실뱀장어의 대량 생산 기술을 조기에 확보할 예정이다.”며, “뱀장어 대량 생산 기술을 어업인에 보급하여 양식 어가의 소득을 향상시키고 수산업의 미래산업화를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뱀장어 종자 수급 및 세계 연구 동향>
뱀장어는 수심 300미터 내외의 깊은 바다에서 산란하고 6개월 후 실뱀장어로 변태되어 강으로 올라와 성장하는 매우 특이한 생태특성을 지니고 있어 인공 종묘생산이 매우 어려운 어종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뱀장어 양식은 전적으로 자연산 실뱀장어 채포에 의존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뱀장어 자원 감소에 따라 종자 공급이 매우 불안정한 실정이다.

2015년의 경우, 국내 실뱀장어 입식량 13.2톤 중 59.1%인 7.8톤이 수입되어 극심한 종자 부족현상을 겪고 있다.

특히「국제 야생동식물 멸종위기종 거래에 관한 조약(CITES)」(야생동식물의 포획·채취와 상거래를 규제하기 위한 조약으로, 규제 대상 생물의 멸종 위기 정도에 따라 부속서 Ⅰ, Ⅱ, Ⅲ으로 차등 구분하여 규제하고 있음. 현재 한국을 포함한 181개 국가가 가입)에 따라 2013년부터 유럽산 뱀장어 자연산 종자의 국가 간 거래가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양식하고 있는 뱀장어도 종자확보를 위한 동아시아 4개국(한국, 일본, 중국, 대만)의 종자 전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전 세계 뱀장어 양식을 위한 종자 소요량은 약 200톤으로 최대 생산국인 중국은 전 세계 뱀장어 약 80%(16만톤)를 생산하고 있으며 최대 소비국인 일본은 전 세계 뱀장어 약 70%(14만톤)를 소비하고 있다.

현재 외국의 뱀장어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일본의 경우 뱀장어 연구에 36년만인 2010년에 완전양식에 성공하였으며 현재 대량생산 기술개발(실뱀장어 1만마리 생산)을 추진 중이다.

중국과 대만은 1970년대부터 정부 산하 수산연구소에서 인공종자 생산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 가시적인 성과 없다.

EU 국가들의 경우는 유럽산 뱀장어 자원 증강을 위해 「PRO-EEL」이라는 프로젝트를 만들어 EU 7개 국가, 15개 연구기관이 인공종자생산 연구를 추진하여 부화 후 25일까지 사육에 성공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