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 3호기에 운행을 전면 중단하고, 철저한 재전수조사와 검증을 실시하라" 요구

전라북도의회 한빛원전 대책 특별위원회․탈핵에너지전환전북연대/한빛원전 기자회견(자료제공=전북도의회)
전라북도의회 한빛원전 대책 특별위원회․탈핵에너지전환전북연대/한빛원전 기자회견(자료제공=전북도의회)

[소비자TV·한국농어촌방송/전북=이수준 기자] 원전의 공극과 철근 노출부의 균열 등 안전에 문제점이 들어나 가동을 중지했던 한빛원전 3호기가 발전을 재개 하자 도의회와 시민단체가 가동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한빛원전 3‧4호기는 국내 원전 공극의 약 80%(264개소), 철근 노출부의 약 48%(208개소)를 차지할 만큼 균열 등 안전에 취약점을 드러내 그동안 발전을 중지하고 예방정비를 실시하여 왔으나,

지난 11월 12일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재가동 승인에 따라 격납건물 균열 등 안전 문제를 해소하지 못한 채 2년 6개월 만에 한빛 3호기가 재가동(11.14)되었다.

도의회와 시민단체는 격납건물의 균열은 원전 안전에 있어 매우 위협적인 요인이고, 최후 방호벽인 격납건물의 안전이 미확보된 원전은 대단히 심각한 문제이며,

그리스 누유부의 미세틈새가 발생한 사실만으로도 콘크리트 균열을 예상할 수 있고, ‘미국 산디아 국립연구소’의 실험에서 보듯 격납건물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대적으로 약한 부분(보수부위)부터 균열이 발생하게 됨에도,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격납건물의 전체적인 전수조사 없이 누유 부분에 대한 점검만을 실시하고, 공극에 대한 보수를 완료한 것만으로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밝힌 점은 “원전 운영에 있어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여야 할 규제기관의 책무를 져버린 무책임한 행위“라는 것이다.

또한, "한빛원전의 설계‧감리를 담당했던 한국전력기술", "한수원과 협력 관계에 있는 프라마톰社", "콘크리트학회"의 평가와 검증은 총체적 부실검증으로 이어질 수 있고,

과거, 짝퉁부품 사용, 1호기 수동정지 사고, 부실시공으로 인한 공극 등 안전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주민은 위험만을 감당해 왔다며,

전북도의회와 시민단체는 한빛원전 3호기의 운행을 전면 중단하고, "주민보호를 위한 철저한 재전수조사와 검증", "한빛원전 안전과 관련된 모든 사항을 지자체와 원전 인근 주민에게 공개 의견을 반영하여 운행 여부를 결정하고", "정부는 방재 인프라 구축을 위한 방재예산을 지원하여 도민의 안전을 확보하라",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