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참정(총리) 신기선의 상소 (2) 

                                                               조선의 궁궐
                                                               조선의 궁궐

1904년  9월 2일, 신기선의 사직 상소는 계속된다. 

“아! 나라를 망하게 만드는 정사가 한 두 가지가 아니지만 뇌물처럼 가장 혹독한 것은 없습니다. 대저 뇌물은 무엇에 쓰이는 것입니까? 내탕고(內帑庫)에 보태어 나라의 비용을 넉넉히 만들자는 것이 아닙니까? 
아! 어찌 이다지도 생각의 모자람이 심합니까? 뇌물로 벼슬을 얻은 자들은 모두 하찮은 무리들로서 나라와 백성이 무엇인지 모르니 정사가 무엇인지 어떻게 알겠습니까? 부임하여 백성들을 다스리며 부지런히 하는 일이란 오로지 공전(公錢)을 도적질하고 백성들의 재물을 약탈해서 뇌물로 바친 빚을 보상받고 몇 배의 이득을 취하자는 것입니다. 이에 정공(正供)이 늘 지체되고 탁지부(度支部)의 경비가 날이 갈수록 고갈되며 백성들의 재산이 다 탕진되고 사나운 도적 무리들이 생겨나며 백성과 나라가 다 같이 가난해지는데 유독 폐하만이 부유해질 리가 있겠습니까?

얻는 것으로 것을 비교해 보면 애당초 십분의 하나, 둘도 되지 않습니다. 백성들이 목숨을 부지할 수 없어 갑오년(1894) 난리(동학농민봉기)를 일으키고 이웃 나라에게 허술한 틈을 주어 오늘날의 위기를 초래된 것이 아닙니까? 전후로 겪은 병란과 화재에서 입은 손실은 대체로 모두 도리에서 어긋난 이치 때문이니 그 이해 득실이 과연 어떠합니까? 이것은 옛일을 거울삼지 않고서도 명백히 알 수 있는 것인데 폐하께서는 그래도 깨닫지 못합니까?

삼가 원컨대 폐하는 선뜻 깨닫고 속히 지난날의 전철을 고쳐서 관리 임용에 관한 일을 전적으로 해당부처의 관리에게 위임하여 그로 하여금 공정하게 선발하게 하며, 감히 더러운 악습에 젖어 뇌물을 가지고 높고 낮은 관리들에게 청탁하는 자는 나타나는 대로 적발해서 탐오죄로 다스리며 중앙과 지방의 관리 중 일찍이 뇌물로 벼슬을 준 자는 모두 파면시켜야 합니다. 몇 년 이래로 총애와 권력을 부당하게 차지하고 중간에서 뇌물을 받아서 자기 집을 살찌운 자는 그 사람에게 죄를 주고 그 재산을 몰수해서 군대와 나라의 비용으로 보탠다면 인사 문제를 처리하는 관청이 감히 공정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며 어질고 재주 있는 사람이 벼슬에 나서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입니다. 지방관이 각기 자기 직무를 다하게 되면 백성들의 재산이 그의 보호를 받게 되고 공납(公納)이 애초에 지체되거나 축나지 않을 것이며 정령(政令)이 시행되고 폐해가 점차 없어져 민심이 단결되고 외국의 업신여김도 차츰 없어질 것입니다. 이와 함께 비용을 절약하고 낭비를 없앰으로써 탁지부에서 연간 비용을 넉넉하게 하며 농업, 상업, 공업을 널리 일으키면 재정이 날마다 늘어나고 세입(歲入)이 해마다 불어나서 궁내 비용이 많아질 것입니다. 구구하게 벼슬을 판 뇌물로 들어오는 수입에 비하면 과연 어느 것이 많겠습니까?

폐하께서 진실로 크게 분발해서 대궐을 깨끗하게 만들고 뇌물을 근절한다면 황위를 좀먹는 위기가 점차 사라질 것이고 망해가는 나라의 기맥이 다시 뻗칠 것이며 나라를 다시 일으켜 세우는 위업을 이룩하게 될 것입니다. 장차 어진 사람들이 연이어 나서고 재상(宰相)의 자리에 적임자가 나설 것이니, 신과 같은 사람들도 그들과 나란히 전하의 은덕을 우러르게 될 것입니다.

만일 이렇게 하지 않고서 대궐을 끝내 엄숙하고 깨끗하게 만들지 못하고 뇌물을 실지로 근절하지 못하면 간신히 이어가는 나라의 숨결이 당장 끊어질 것이니 어찌 500년 동안 내려온 종묘(宗廟)와 사직(社稷)을 보존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또한 4,000년 강토가 외국인에게 넘어가고 2,000만 백성들이 모두 노예가 될 것이니 신이 어떻게 차마 어리석음을 무릅쓰고 추창하여 저절로 망국의 관리가 되는 것을 달갑게 여길 수 있겠습니까?

옛날에 요숭(姚崇)은 10가지 일을 현종(玄宗)에게 요청하였습니다. 신이 비록 옛사람처럼 할 수는 없지만 감히 그를 본받아 폐하에게 두 가지 일을 제기하였으니 폐하께서는 흔쾌히 받아 주소서.

삼가 생각하건대, 이 두 가지 일의 이해득실은 하인들이나 아녀자들도 모두 아는 것인데 명철한 폐하만이 깨닫지 못하는 것은 무슨 이치입니까? 이는 필시 까닭이 있을 것입니다.”

신기선은 ‘부패가 망국의 지름길’임을 역설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