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상황 속에서도 안정적인 생산으로 수산물 먹거리 공급

코로나 19 장기화에 따른 어업활동 제약에도 불구하고 , 올해 상반기 국내 어업생산량은 전년 대비 5.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해양수 산부 ( 장관 문성혁 ) 는 2021 년 상반기 (1~6 월 ) 국내 어업 ( 연근해어업 , 양식어업 , 원양어업 ) 총생산량이 전년 동기 (226.5 만 톤 ) 보다 11.8 만 톤 증가한 238.3 만 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특히 , 양식업과 원양어업의 생 산량 증가가 전체 어업생산량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 연근해 어업 >

올해 상반기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총 36.7 만 톤으로 , 최근 5 년 평균 생산량 (36.1 만 톤 ) 에 비해 1.5% 증가했으며 , 2020 년 상반기 ( 36.9 만 톤 ) 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 ( △ 0.7%) 한 것으로 나타났다 .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멸치 5.9 만 톤 ( △ 17.4%), 고등어 2.9 만 톤 (30.8%), 갈치 2 만 톤 (0.4%), 오징어 1.2 만 톤 ( △ 37.3%) , 꽃게 0.5 만 톤 (85.4%) 등이다 .

대표적인 대중성 어종인 고등어는 지난해 겨울철 고수온으로 어황이 부진했으나 , 올해 1~3 월에 주 어장인 제주 서부 근해를 중심으로 평년수온을 회복하면서 자원 밀도가 크게 증가하였고 , 고등어를 주로 잡는 대형선망 어업의 휴어기 * 가 기존 3 개월에서 2 개월로 줄어들면서 조업일수가 증가하여 생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반면 , 오징어는 올해 2~3 월 동해 근해 고수온 ( 평년 대비 1.5~3.5 ℃↑ ) 의 영향 으로 어군이 먼 바다로 분산되어 어장 형성이 다소 부진하였으며 , 오징어가 북상하는 5~6 월에는 연안측 저수온 영향으로 어군이 먼 바다 쪽으로 이동하면서 동해 연안어선의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

꽃게는 지난해 긴 장마로 강수량이 증가하여 영양염류와 플랑크톤 등 유생의 생육조건이 크게 개선되어 봄 어기 (4~6 월 ) 에 어군밀도가 증가 했으며 , 이에 따라 조업도 증가하여 생산량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

< 양식 어업 >

올해 상반기 양식어업 생산량은 총 173.3 만 톤으로 , 최근 5 년 평균 생산량 (164.5 만 톤 ) 에 비해 5.4%, 전년 동기 (164.7 만 톤 ) 에 비해 5.2% 증가하 였다 .
해조류를 제외한 주요 어패류 생산량은 굴 17.3 만 톤 , 홍합 3.5 만 톤 , 넙치 2.0 만 톤 , 멍게 ( 우렁쉥이 ) 1.5 만 톤 , 전복 1.1 만 톤 등으로 나타났다 .

겨울철 대표 보양식인 굴의 경우 , 지난해에는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소비 둔화로 인해 출하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 올해는 소비 심리가 회복되면서 평년 수준의 생산량을 회복하였다 .

반면 , 대표 양식어종인 넙치 ( 광어 ) 는 20 19 년까지 적체 물량이 있어 생산지를 중심으로 20 19 년도 이후 입식량을 조절하는 움직임이 있었다 . 이로 인해 올해 상반기에 출하 가능한 물량이 많지 않아 생산량은 전년 동기에 비해 5.6% 감소하였다 .

멍게의 경우 올 상반기 생산량이 전년 대비 46.6% 감소하는 등 급 격히 물량이 줄었는데 , 이는 지난해 발생한 산소부족 물덩어리 ( 빈산 소수괴 ) 의 영향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멍게 의 양성기간이 통상 2 년 이상 걸 리는 점을 감안할 때 , 20 20 년도 의 1 년산 멍게 폐사 증가가 올해 생산에 차질을 빚은 것으로 추정 된다 .

< 원양 어업 >

올해 상반기 원양어업 생산량은 26.6 만 톤으로 , 최근 5 년 평균 생산량 ( 25 만 톤 ) 에 비해 6.5%, 전년 동기 (23.4 만 톤 ) 에 비해 13.7% 증가하였다 .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가다랑어 11.6 만 톤 , 오징어류 6.6 만 톤 , 황다랑어 2.3 만 톤 , 눈다랑어 1.2 만 톤 , 민대구류 0.3 만 톤 , 명태 0.3 만톤 , 이빨고기 0.2 만 톤 등이다 .

올 상반기 원양어업 생산량 증가는 오징어류가 견인하였다 . 오징어는 지난해 대비 어황 호조로 올해 상반기 생산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원양오징어의 경우 남서대서양 어장에서 연말부터 5~6 월까지 어군이 형성되는데 , 지난 5 월 27 일을 기준으로 우리 오징어 채낚기 선박 27 척은 상반기 조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어장에서 철수했다 .

대표적인 원양어업 어종인 가다랑어의 경우 , 중서부태평양 선망 어선 들을 중심으로 3 월까지 어획 호조를 이어갔으나 , 5~6 월에 어획량이 감 소하여 상반기 어획량은 전년 수준에 머물렀다 . 이 수역에서 조업하는 연승어선이 어획하는 눈다랑어 또한 전년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어획량을 기록했다 .

황다랑어의 경우 올해 상반기 전체 어획량이 전년 동기보다 25% 이상 크게 감소 * 했는데 , 이는 태평양에서의 어획량 감소에 따른 것이 다 .

한편 , 올해 상반기 국내 어업생산금액은 4.45 조 원으로 전년 동기 (4.10 조 원 ) 보다 8.7% 상승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 생산량이 증가한 원양 어업 (0.86 조 원 , 44.6%) 과 양식어업 (1.59 조 원 , 6.6%) 이 어업분야 전체 생산금액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

김준석 해양수산부 수산정책실장은 “ 코로나 19 로 인해 어업 생산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 어업인들의 노력으로 상반기에 안정적인 생산량을 달성할 수 있었다 .” 라며 , “ 고수온 · 적조를 비롯한 제약 요인이 많아 어 려움이 예상되지만 , 하반기 생산비중이 높은 어패류 등을 중심으로 안전하고 활발한 생산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해양수산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 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