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영 김일손에 대한 평가 

탁영 김일손 유품 (청도박물관)
탁영 김일손 유품 (청도박물관)

무오사화(戊午士禍)의 희생자 사관(史官) 김일손(1464∼1498)의 호는 탁영(濯纓)이다. (1498년 7월에 일어난 무오사화는 조선 시대 4대 사화 중 최초의 사화이다. 무오사화는 사초(史草)로 인하여 화를 입었기 때문에 史禍(사화)라고도 불린다.) 

‘탁영(濯纓)’은 ‘갓끈을 씻는다.’는 의미인데 이 단어는 굴원(BC 343∼  278)이 지은 책 『초사(楚辭)』의 「어부사(漁父辭)」에 나온다. 

굴원은 초나라 회왕을 도와 정치를 했으나, 간신의 참소로 호남성의 상수로 추방당했다. 쫓겨난 그는 상수 연못가를 거닐었는데 한 어부를 만났다. 어부가 굴원에게 ‘무슨 까닭으로 여기까지 왔느냐’고 물었다. 굴원은 ‘온 세상이 모두가 흐려있는데 나 혼자만이 맑고 깨끗하였고, 뭇 사람들 모두가 취해 있는데 나 혼자만 술에 깨어 있다가 이렇게 추방당한 거라오.’라고 답했다.
 
이 말을 듣고 어부가 “물결 흐르는 대로 살지, 어찌 고고하게 살다가 추방을 당하셨소?”라고 굴원에게 다시 묻자, 굴원은 “차라리 상수 물가로 달려가 물고기 뱃속에서 장사(葬事)를 지낼지언정 어찌 순백(純白)으로 세속의 티끌을 뒤집어 쓴단 말이오?”라고 답했다.   

어부는 빙그레 웃고는 노로 뱃전을 두드리며 떠나가면서 노래를 불렀다.

‘창랑의 물이 맑으면 내 갓 끈을 씻으리오. 滄浪之水淸兮  可以濯吾纓 
 창랑의 물이 흐리면 내 발을 씻으리오.    滄浪之水濁兮  可以濯吾足’  


결국 굴원은 울분을 참지 못해 5월 5일에 멱라수(汨羅水)에 몸을 던졌다.  

그런데 김일손은 ‘세상이 흐림에도 불구하고 갓끈을 씻겠노라.’고 호를 ‘탁영’이라 지었다. 

그러나 흐린 물에 갓끈을 씻으려 한 대가는 혹독했다. 그는 능지처사 당하는 비극적 최후를 맞았다. 김일손은 34년의 짧은 인생을 살았지만 15세기 후반의 현실을 냉정하게 인식했고 추호의 망설임도 없이 직필로 역사투쟁에 나선 사관이었다. 김일손은 ‘역사를 기억하지 못하면 내일이 없고, 올바른 기록이 없으면 시대의 아픔을 극복할 수 없다’는 투철한 역사관을 가지고 사초를 썼다. 조의 왕위 찬탈과 비행 그리고 훈구와 세도가의 부패와 탐욕을 실록에 기록함으로써 올바른 역사를 후대들이 기억하도록 했다.   

한편 김일손은 1506년(중종 1년)에 관직을 회복하고, 1507년 6월에는 가산(家産)을 환급받았으며, 1512년에는 홍문관 직제학을 증직(贈職) 받았다. 1660년에 현종은 김일손에게 승정원 도승지를 증직했고, 1661년에는 청도의 자계서원에 사액을 내렸다. 1830년에 그는 이조판서에 증직되었고 1834년(순조 34년)에는 문민(文愍 학문과 견문이 넓고 깊어 문이라 하고 , 백성들로 하여금 슬프고 마음 상하게 하여 민이라 함다)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러면 김일손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자. 추강 남효온은 “그는 세상에 보기드문 자질을 타고 났으며, 종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그릇”이라고 했고, 『패관잡기』는 “계운(김일손의 자)은 참으로 세상에 드문 선비였으나, 불행한 시대를 만나 화를 입어 죽었다”고 애석해 했다. 남명 조식도 “살아서는 서리를 업신여길 절개가 있었고, 죽어서는 하늘에 통하는 원통함이 있었다.”라고 했다.
   

송시열은 1668년에 지은 『탁영선생문집』 서(序)에서 “탁영선생은 문장과 절행으로서 한 시대의 으뜸이었던 분인데 불행하게도 연산군을 만나 동시(東市)에서 처형당하는 화를 입었고, 그 화는 온 사림에 미치었다. 지금도 당시의 일을 말 할 때면 기가 막히고 목이 메지 않는 사람이 없다. (...) 중국 사람들 까지도 칭찬하여 말하길 동국의 한유(768~824)라 하였다. 그런데 선생은 그는 정이천과 주자보다 더 후세에 태어나서 김굉필과 정여창 같은 노선생과 더불어 학문을 닦고 도의를 함양하였으니 그 선택이 정일(精一)하고 잡(雜)됨이 없었다. (후략)”라고 썼다.  

한편 김일손은 문장가였다. 1489년 11월에 김일손이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갔을 때 그는 예부 원외랑 정유를 만나서 『소학집설』을 얻어서 귀국했다. 정유는 그를 전송한 글에서 “한유와 구양수 같은 문장가이며 주돈이와 정호·정이천같이 학문의 연원이 있는 분이다”라고 극찬했다. 

1507년 10월, 중종은 김일손의 유문(遺文)을 구하기 위해 “내가 듣기로는 중국 사람들이 김일손의 문장을 한유에 비한다는 데, 나는 아직 보지 못했으니 그의 문장은 과연 어떤 것인가?”라는 전지를 내리고, 곧 교서관에 명하여 본가에 가서 유고를 구해오라고 했다. 그리하여  『탁영선생문집』이 전해온다. 


( 참고문헌 )

o 한철희 펴냄, 63인의 역사학자가 쓴 한국사 인물열전 1, 돌베개, 2003,  p 440-455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