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삼석 의원이 16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쌀산업 진단과 양곡정책 재정립을 위한 정책토론회' 를 개최했다. [김도하 기자]
서삼석 의원이 16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쌀산업 진단과 양곡정책 재정립을 위한 정책토론회' 를 개최했다. [김도하 기자]

 

[한국농어촌방송=김도하 기자] 농촌 현장에서 쌀 가격 폭락 문제가 지속되면서 쌀 생산비 보장 법제화 등 정부의 적극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서삼석(영암·무안·신안) 의원은 16일 "우리는 식량의 절대적 위기속에 살고있지만, 생산자만 이문제를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일정도로 정부 대응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서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쌀산업 진단과 양곡정책 재정립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국회에서 수차례 즉각적인 시장격리와 제도개선을 촉구해왔지만,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로 쌀 가격 폭락을 막지 못해왔을뿐 아니라 관련 법률 개정도 이루어지도 않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어 "구색 맞추기에 급급하게 추진되다 보니 지난해 정부 시장격리 발표 이후에도 쌀값은 지속적으로 하락했다"며 "입찰 참가 농가는 제값도 못 받고 쌀을 넘겨 농가소득보전에 도움이 되기는커녕 생산비 적자를 감내하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덧붙였습니다.

서 의원은 지난 5일 80kg 기준 산지쌀값은 18만 3천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2만 4천 원) 대비 18.3%p 폭락했다고 설명했습니다. 

5월 기준 전국 농협 창고의 쌀 재고는 76만 4천t으로 지난해(43만t) 대비 77.7%p 폭증했다고도 밝혔습니다.

서 의원은 "올해도 쌀 공급 과잉이 우려된다"며 "근본적인 쌀 수급안정 대책 마련을 위한 법제도 개선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양곡관리법을 개정해 가격 하락 및 생산 과잉 시 정부의 시장격리 조치를 의무화하고 최소한 쌀 품목만이라도 먼저 생산비 보장을 법제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기후 위기와 자연재해로 인한 농산물 생산 감소에 대해서는 국가가 의무적으로 피해를 보상하도록 하는 내용의 재해대책법도 정비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김도하 기자]
[김도하 기자]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어기구(충남 당진) 의원은 "농산물 수출국으로부터 식량을 수입하면 된다는 안일한 생각으로 우리의 주식인 쌀 산업을 포기할 수는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어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110대 국정과제에도 농업직불금 확대 외에 쌀 관련 정책이 부재한 실정"이라며 "심도 깊은 논의를 통해 지속가능한 쌀 산업 구조를 만들 수 있는 현실적인 정책이 마련되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이학구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회장은 "자급률이 무너지면 농업과 농촌을 넘어 국가의 식량안보와 먹거리 주권을 완전히 상실할 수 있다"며 "밥 한공기당 300원 수준의 가격만 보장해 달라"고 언급했습니다.

 

주제발표하는 김의웅 한국식품연구원 책임연구원 [김도하 기자]
주제발표하는 김의웅 한국식품연구원 책임연구원 [김도하 기자]

 

이날 토론회에서는 쌀 소비량과 생산면적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는 상황을 점검하고, 쌀 소비 촉진을 위한 방안 등이 논의됐습니다.

김의웅 한국식품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이날 소비자 중심의 홍보와 특수 가공미 공급 확대, '고품질 쌀' 생산시스템 정착 등의 필요성에 대해 주제발표했습니다.

김 책임연구원은 이 외에도 소비자 알권리와 리콜, 농지개량, RPC(미곡종합처리장) 시설관리방법 개선 등을 위해 '쌀 이력추적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도 주장했습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