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XO연구소, 2000년~2021년 사이 매출 1000대 상장사 부채비율 현황 조사
2010년 이후 부채비율 200% 미만으로 낮아져
부채비율 400% 넘는 고위험 기업도 감소세
운송업 높고 전자업 낮고…대우조선해양 4개 경고등 켜져

[한국CXO연구소]
[한국CXO연구소]

[한국농어촌방송=홍채린 기자] 최근 20년 새 국내 대기업 재무건전성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00년 당시 국내 1000대 기업의 부채비율은 300%를 넘었는데, 2010년 이후로 200% 미만 수준을 유지해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업종별 부채비율은 해운과 항공 등이 포함된 운송업은 높고, 전자업은 낮아 대조를 보였습니다. 또 최근 사회적 이슈의 중심에 있는 대우조선해양은 경고등이 4개나 동시에 들어와 경영 위기감이 고조됐습니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0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00년~2021년 국내 1000대 기업 부채비율 변동 분석’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 대상 1000대 기업은 상장사 기준이고, 각 년도 매출 순입니다.

부채비율은 별도 및 개별 재무제표를 참고해 계산이 이뤄졌습니다. 참고로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인 부채비율은 수치가 낮을수록 재무건전성이 높습니다. 통상 200%를 넘으면 경영에 불안요소가 높아지고 300%면 금융비용이 순이익을 깎아먹는 상황, 400%면 기업 존립이 위태롭다는 의미가 강합니다.

조사 결과 지난 2000년 당시 국내 1000대 기업의 전체 부채비율은 323%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는 우리나라에 IMF외환위기가 찾아왔던 1997년 당시 589%에 비하면 크게 떨어진 수치입니다.

2001년(339%)→2002년(351%)→2003년(326%)에도 여전히 부채비율 300%대를 유지했었습니다. 

그러다 2004년으로 넘어오며 부채비율은 264%로 300% 미만으로 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2005년 217%→2006년 220%→2007년 221%→2008년 216%로 220% 내외 수준으로 비슷했습니다.

2010년(189%)부터는 본격적으로 200% 미만으로 부채비율이 낮아졌습니다. 2009년에는 153%로 최근 20년 중 가장 낮은 부채비율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2020년과 2021년 최근 2년 간 부채비율도 160%로 조사됐습니다. 현재와 같은 상황이 유지되면 제2의 IMF외환위기가 발생할 가능성도 현저히 낮아집니다. 

[한국CXO연구소]
[한국CXO연구소]

부채비율이 400%가 넘는 고(高)위험 기업 숫자도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지난 2000년 당시만 해도 1000곳 중 157곳이 부채비율 400%를 넘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2001년(139곳)과 2002년(110곳)에도 100곳 넘게 포함됐습니다. 지난 2006년에는 59곳으로 2000년 이후 가장 적었습니다. 2016년부터 작년까지는 70곳 미만 수준으로 집계됐습니다. 재무건전성에 경고등이 들어온 기업은 2000년대 초반 때보다는 줄었습니다. 

[한국CXO연구소]
[한국CXO연구소]

업종별 부채비율을 지난해 기준으로 살펴보면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해운·항공·육상물류 등이 포함된 운송업의 작년 평균 부채비율은 162.7% 수준이었습니다. 주요 업종 중 상대적으로 높은 편에 속했습니다.

이 중에서도 아시아나항공의 작년 말 기준 부채비율이 2200%를 넘어섰고, 티웨이항공(1495%), 에어부산(674%), 제주항공(587%) 등도 500%를 넘어섰습니다. 대한항공은 275%로 항공사 중에서는 부채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에 속했습니다. 

운송업 다음으로 전기·가스업(142.1%), 건설(132.2%), 조선·항공우주업(122%) 순으로 부채비율이 높았습니다.

이와 달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이 포함된 전자업은 47.3%로 가장 낮았습니다. 이중 국내 1위 기업 삼성전자의 작년 말 기준 부채비율은 30%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재무건전성이 매우 우수한 기업군에 속한 것입다.

이외 △제약업(51.4%) △철강·금속(51.8%) △석유화학(58.1%) △자동차(60.9%) △정보·통신(72%) △식품(78.5%) △유통(87.2%) △기계(90.1%) 업종 등은 작년 업계 평균 부채비율이 100% 미만이었습니다. 

[한국CXO연구소]
[한국CXO연구소]

지난해 국내 1000대 기업 중 매출 1조 클럽에 가입한 대기업 중 비(非)금융 업체이면서 올 1분기 기준 부채비율이 400%를 넘고, 1분기에만 영업적자와 순손실을 동시 기록해 트리플 악재의 위기에 처한 곳은 ‘대우조선해양’이 유일했습니다.

이 회사의 올 3월 말 기준 자본총액은 1조 6359억 원, 부채총액은 8조 9424억 원으로 부채비율만 해도 546.6%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는 3개월 이전인 작년 말 기준 부채비율 390.7%보다 155%포인트나 높아진 수치입니다. 재무건전성이 불과 3개월 새 급속히 나빠졌다는 얘기입니다.

여기에 올 1분기 영업적자 금액만 4700억 원이었고, 1분기 순손실 금액도 4900억 원 수준이었습니다. 작년 한해에도 400%에 육박하는 부채비율에 1조 7362억 원이나 되는 영업적자와 1조 6731억 원이나 되는 당기 순손실을 봤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대우조선해양은 높은 부채비율, 영업적자 및 당기 순손실이라는 세 가지 트리플 악재 이외에도 인건비 비율에도 작년에 이미 경고등이 켜진 상황입니다.

[한국CXO연구소]
[한국CXO연구소]

지난 2010년 당시 대우조선해양의 매출대비 인건비 비율(인건비율)은 6.7% 수준이었습니다. 이 당시 직원 1인당 평균 급여는 7200만 원 정도였습니다. 2012년에는 인건비율이 8.2%로 높아지면서 직원 연봉도 7700만 원으로 두둑해졌습니다.

그러다 2016년과 2017년에는 인건비율이 각각 6%, 5.8%로 최근 10년 중 가장 낮았습니다. 인건비율이 낮다 보니 직원 한 명에게 돌아간 연간 급여도 6000만 원으로 감소했습니다. 지난 2012년 때와 비교하면 20% 넘게 연봉 지갑이 얇아진 셈입니다.

2018년~2020년에는 평균 연봉이 7000만 원대로 회복했지만, 작년에는 다시 6700만 원으로 6000만 원대로 회귀했습니다. 

문제는 작년 기준 인건비 비율이 13.2%로 10%를 훌쩍 뛰어넘었다는 점입니다. 2010년 이후로 인건비율이 10%를 넘은 것은 지난해가 처음입니다. 이유는 간단했습니다.

대우조선해양의 2020년 매출은 7조 원대였는데 지난해는 4조 원대로 1년 새 36% 넘게 쪼그라들었지만 인건비 규모는 6800억 원대에서 5900억 원대로 13% 수준만 하락했기 때문입니다.

[한국CXO연구소]
[한국CXO연구소]

매출이 큰 폭으로 줄어들 때 인건비는 상대적으로 적게 줄어들다 보니 지난해 인건비율이 1년 새 3.5%포인트 급증한 것입니다. 인건비 개선도 시급한 경영 과제로 대두된 셈입니다.

한편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2015년 당시 대우조선해양의 부채비율은 4000%가 넘을 정도로 재무건전성이 매우 심각했었다"며 "이로 인해 경영 개선의 일환 중 하나로 2015년 당시 1만 3000명이 넘는 직원 수도 3년 새 3000명 정도 감축한 1만 명대 초반 수준으로 떨어지더니 올 1분기에는 8800명대로 9000명 미만을 유지해오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오 소장은 "매출 체격과 영업내실 체력이 동시에 향상되지 않을 경우 대우조선해양의 향후 직원 수는 현재보다 더 적어지고, 급여 수준도 더 줄어들 가능성이 농후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