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뉴스1]
소아과.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뉴스1]


[한국농어촌방송=김도하 기자] 최근 5년 동안 서울 시내 소아청소년과의원은 꾸준히 감소한 반면, 정신건강의학과는 매년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4일 서울연구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통계'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시내 개인병원(의원) 중 소아청소년과는 456개로 2017년 521개보다 12.5% 줄어들었습니다.

최근 5년간 서울 시내의 소아청소년과의원 10곳 중 1곳은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년 전보다 수가 줄어든 개인병원 진료과목은 총 20개 중 소아청소년과와 영상의학과(-2.4%) 두 과목뿐입니다.

반면 가장 큰 증가율을 보인 진료과목은 정신의학과로 같은 기간 302개에서 534개로 76.8% 늘었습니다. 이어 마취통증의학과 41.2%, 흉부외과 37.5% 순으로 증가 폭이 컸습니다.

정신의학과는 2018년부터 매년 전년 대비 10%가량의 증가세를 보인 반면에 소아청소년과는 2017년 이후 꾸준히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앞서 지역 소아청소년과 개원 의사들이 주축인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는 지난 3월 말 기자회견에서 "저출산과 낮은 수가 등으로 수입이 계속 줄어 동네에서 기관을 운영하기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폐과'를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임현택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 회장은 “소청과의 유일한 수입원인 진료비는 사실상 30년째 동결됐고 동남아 국가의 10분의 1 수준이어서 더 버틸 수가 없다”고 토로했습니다.

한편 지난해 말 기준 서울의 개인병원은 9천467개로 전국의 27.1%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구 1천명당 개인병원 수 비율은 1.00%로 전국 시도 중 유일하게 1%대를 보였습니다. 이어 대구 0.82%, 대전 0.78%, 부산 0.77%, 광주 0.72% 순이었고 경북이 0.50%로 가장 낮았습니다.

진료과목별 서울에서 가장 많은 개인병원은 '진료과목 불특정' 병원(18.4%), 내과(12.9%), 일반의(8.3%) 순이었습니다.

진료과목 불특정 병원은 개원의가 전문의 자격을 딴 이후 전문과목을 표시하지 않고 개원한 개인병원을 뜻합니다. 본인의 전문과목을 포함해 다른 과목과 진료를 병행하거나 본인 과목 외에 다른 과목을 진료하는 경우가 모두 포함됩니다.

진료과목 불특정 병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전문의 과목은 가정의학과(38.5%)였습니다. 산부인과는 12.6%, 외과는 11.2%, 비뇨의학과는 7.5%, 마취통증과는 4.6%, 소아청소년과는 3.8%로 집계됐습니다.

개인병원이 가장 많은 자치구는 성형외과, 피부과 등이 밀집한 강남구(1천835개)였습니다. 이는 서초구(780개)의 두 배를 웃도는 수준입니다.

건강보험통계상 치과와 한의원은 요양기관으로 분류돼 이번 분석에서 제외됐습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