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제1회 SNE Research Battery Recycling Day 2023'이 개최된 가운데, 한국환경연구원 조지혜 자원순환연구실장이  '탄소중립 시대를 대비한 배터리 순환경제의 정책 방향'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홍채린 기자]
18일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제1회 SNE Research Battery Recycling Day 2023'이 개최된 가운데, 한국환경연구원 조지혜 자원순환연구실장이  '탄소중립 시대를 대비한 배터리 순환경제의 정책 방향'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홍채린 기자]

[한국농어촌방송=홍채린 기자]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가 약 30%로, 배출량을 산정해서 탄소중립에 기여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습니다. 

18일 한국과학기술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제1회 SNE Research Battery Recycling Day 2023'이 개최됐습니다. 

이날 '탄소중립 시대를 대비한 배터리 순환경제의 정책 방향'을 발표한 한국환경연구원 조지혜 자원순환연구실장은 "폐기물 증가, 사회적 문제 발생, EU 탄소발자국 등 제품 환경규제 강화 등 자원 전과정에 걸친 자원효율성 및 순환성이 제고되면서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기업경영시스템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저탄소 경제, 순환경제 등을 위한 정책이 ▲폐기물 소각·매립 ▲폐기물 재활용 에너지 회수 등을 넘어서 ▲제품수명연장, 수리, 재사용, 재제조 ▲친환경소비 ▲제품 친환경 설계, 생산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재사용·재활용에 따른 이슈를 보면 저비용·고속잔존가치 평가가 필요하고, 사용후 배터리 다양한 모양·사양 배터리 팩 해체가 어려운 점, 전기차용 이외의 배터리에 대한 관리 필요 등 다양한 이슈가 존재했습니다. 

수집·운반 중 사용후 배터리 안정성 확보도 필요하고, 온실가스 배출 감축분 산정 및 평가시스템 필요한 점, 또한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 산업 수익모델 창출이 필요한 점 등도 제기됐습니다. 

이에 따라 사용후 배터리 안정성, 저비용·신속·정확한 성능평가, 용도별 재제도 기준 및 인증시스템이 마련되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습니다. 

배터리 재활용 해당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직간접 배출량 이외에도 배터리 전주기에 관련된 납품 및 협력업체 등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해서도 산정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한국환경연구원 조지혜 자원순환연구실장은 "탄소중립 및 순환경제에 대한 글로벌 제품환경규제에 국내 기업 및 수출품의 대응 능력 향상이 필요하고, 현재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을 파악해 실질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해 감축량을 실증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글로벌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제품의 순환성을 고려한 환경발자국 정보의 요구를 확대해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EU는 PEF(Product environmental footprint, 제품환경발자국) 기반으로 전환했는데, 플라스틱 열분해 사례에서와 같이 배터리 순환경제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감축붑 인정방법론이 필요하다는 의견입니다.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 및 재활용 시장을 지원하려면 '디지털 기반 이력관리 통계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습니다. 

사용후 배터리의 재사용, 재활용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그 배터리가 전기차나 제품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이슈가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배터리 이력 관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ㅅ브니다. 

이를 위해 사용후 배터리의 입고 단계부터 배터리 팩 또는 모듈의 진단 결과, 등급 분류, 안정성 검사, 출고 이력까지 전산 시스템에서 처리해 정보의 안정성, 신뢰성을 홥고하고, 전국 어디서든 표준화된 데이터, 이력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