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전 서울 강동구 도시농업공원 생태논에서 농부 복장을 한 어린이들이 가을걷이 체험을 하고 있다. [뉴스1]
24일 오전 서울 강동구 도시농업공원 생태논에서 농부 복장을 한 어린이들이 가을걷이 체험을 하고 있다. [뉴스1]

[한국농어촌방송=김도하 기자] 경기도 도시지역에서 농업 활동을 하는 도시농업 참여자가 50만명 이상인 가운데 지자체가 도시농업을 지원해 최소한의 식량자급을 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경기연구원은 이런 내용이 담긴 '경기도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Ⅱ : 제도 발전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습니다.

도시농업은 도시지역 옥상, 베란다, 골목길, 시민농장 등 자투리 공간을 활용한 여가 또는 체험적인 농사를 말합니다. 농촌에서 생계와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농업과는 구별됩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조사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국 도시농업 텃밭 면적은 1천12만9천㎡, 참여자는 174만명입니다.

이 중 경기도 텃밭 면적은 258만9천㎡(축구장 362개 면적), 참여자는 51만3천명입니다.

경기연구원이 도시농업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가 45명에게 경기도 도시농업 현장에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목적 또는 가치를 물은 결과, 전체의 56%는 공동체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친환경 24%, 도농 상생 1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 공영 도시농업농장의 운영에 대해서는 46%가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미래에 중요도에 대해서는 91%가 중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앞으로 도시농업 활동의 전망에 대해서는 62%는 증가할 것이라고, 24%는 현 상태로 유지, 13%는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연구원은 도시농업 활성화 전략으로 ▲독일 안더나흐의 '식용도시(edible city)'와 같은 아무나 심고 아무나 수확할 수 있는 농사 공간의 '아심아수 도시'(가칭) 운동 전개 ▲도시농업공원의 토양 탄소 등 다양한 모델 개발 ▲도시농업 거버넌스 활성화 및 전국도시농업협의회 등 중간 지원조직 역할 강화와 적극적 시민사회 활동 지원 ▲경기도 장기 탄소중립도시 비전과 도시농업의 지속 관심과 투자 등을 제시했습니다.

이양주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도시농업은 탄소중립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 사업이지만 그동안 많은 농지 투기로 각종 제도가 엄격한 상황"이라며 "경기도 통합조례 제정, 도시농업 공간에 대한 특례법 등으로 도시 내 농지를 확보해 지속 가능한 토양 탄소, 공동체 활성화, 최소한의 식량자급 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