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서 초고령사회에 대한 지방정부 대처방안 토론회 열려
똑똑TV 등 첨단기술 활용한 차세대 서비스 채택 주문

 

[한국농어촌방송=오두환 기자]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2년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 여성 중 65세 이상 고령자는 520만명(20.1%)으로 처음 20%를 돌파했습니다.

유엔의 분류로 보면 여성 인구만으로 이미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65세 이상 남성은 407만 명(15.9%)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뿐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가 초고령사회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국회에서는 31일 지역사회의 초고령화에 따른 지방정부 대처방안과 시니어 돌봄 정책에 대한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국민의힘 최영희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 주최로 열린 행사에는 명지대 임승빈 교수가 주제 발표를 했습니다. 그리고 한국지방자치학회 전광섭 회장이 좌장을 맡았고 고려대 김태곤 교수, 인하대 명승환 교수, 상명대 홍영준 교수,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이상범 박사가 정책 토론을 벌였습니다.

임승빈 교수는 발제에서 지방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초고령사회의 노인 맞춤 돌봄서비스가 기존의 6개 관련 정책을 통합해 다양화했으며 개인의 돌봄 욕구에 기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참여형 사업도 신설하는 등 긍정적인 면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지자체마다 노인 돌봄 정책의 기준과 서비스 수준이 달라서 해당 지역 주민들의 불만도 많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임 교수는 1·2인 세대 등의 급증에 따라 노인 맞춤 돌봄서비스가 모든 세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예산, 인력 운용 측면에서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TV의 셋탑박스 데이터만으로 고령자 이상징후를 알아내는 서비스인 ‘똑똑TV’, 가정 내 게이트웨이나 화재경보기를 설치한 ‘응급안전안심서비스’ 등 ICT 첨단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돌봄서비스를 과감히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지역사회 초고령 세대의 고독사와 치매로부터 노후를 지킬 수 있게 실효성 있는 건강과 복지 정책을 지자체에서 신속하게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토론에서도 패널들은 입을 모아 수도권도 병원, 교통, 문화 등 도시의 기본적인 인프라와 시설 외에는 노인들의 소외와 정신건강,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 헬스케어와 보건의료서비스가 가능한 복합주거단지 및 시설 등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따라서 노인들의 안정된 노후생활과 자존감 있는 삶의 유지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방은 지역 인구감소 문제와도 연결되어 남아 있는 노인에 대한 돌봄정책과 사업의 혜택을 누리기 어렵고, 노인을 위한 디지털 기술과 장비의 보급도 매우 열악한 상태라는 것을 지적했습니다.

최영희 의원은 “윤석열 정부는 국정과제 44번째 목표로 다양한 공급 주체가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누구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보편적 복지·돌봄 체계로 사회서비스 혁신을 발표했는데, 그런 측면에서 토론회가 너무나 유익했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강선우 의원은 축사에서 “토론회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노인 돌봄 정책을 살펴보고, 독거노인 등 취약 노인 가구의 생활 안전과 복지를 위한 여러 지혜를 공부할 수 있어 뜻깊은 자리였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번 토론회는 한국지방자치학회,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가 후원했습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