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뉴스1]
신생아.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뉴스1]

[한국농어촌방송=김도하 기자] 한국이 연간 50조원 넘는 저출산 대응 예산을 투입해도 7년 연속 출산율 하락, 세계에서 가장 아이를 적게 낳는 나라가 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급선무로 '친(親)가족 기업'에 대한 금리 인하, 정책자금 지원 등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 SGI(지속성장이니셔티브)는 14일 발간한 '출산율 제고를 위한 정책제언' 보고서에서 이같이 제안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지난 2015년부터 2022년까지 7년 연속 출산율이 하락하며 '저출산의 함정(Low fertility trap)'에 빠진 상태라고 진단했다. 

우리나라의 저출산 대응 예산은 연간 51조7000억원(2022년 기준)으로, 출생아(출생아 수 24만9000명)당 약 2억1000만원을 지출하면서도 전 세계 국가 중 가장 아이를 적게 낳는 국가가 되는 것을 막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김천구 대한상의 SGI 연구위원은 "저출산·고령화 현상은 노동력 부족, 노년층 부양 부담 증가로 경제성장률을 낮추는 것은 물론 건강보험 적자, 연금문제, 정부재정 악화 등 다양한 경제·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SGI는 우리나라 출산율 급락의 원인으로 ▲ 수도권 집중과 높은 주거비 부담 ▲ 자식에 대한 많은 투자와 높은 경쟁 수준 ▲ 노동시장 경직성 ▲ 남성의 낮은 가사부담 ▲ 젊은 층의 인식 변화 등을 꼽았다.

다만 소득수준 향상과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확대는 우리 경제가 계속 추구해 나가야 할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SGI는 "소득수준 향상과 여성경제활동 확대도 출산율 저하의 원인일 수 있다”면서도 “제도적 기반이 잘 마련된 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와 출산율이 반드시 상충관계는 아닌 것을 알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실제 최근 고소득 국가에서 저렴하고 유연한 보육서비스 확대, 양육 관련 남편의 적극적인 역할, 친가족적인 사회규범, 노동시장의 유연성 확보 등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출산율이 동반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와 출산율을 동시에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며, 기업들이 문제 해결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저출산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기업에 대해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 ▲육아휴직 활성화 등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의 실효성 제고 ▲교육·취업의 경쟁압력 완화 ▲기업 및 관련 협회·단체 등 친가족적 기업문화 확립 캠페인과 인프라 지원 등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