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멋쟁이사자처럼]
[사진=멋쟁이사자처럼]

[한국농어촌방송=임리아 기자] ‘멋쟁이사자처럼 13기 중앙 해커톤’이 성공리에 끝마쳤다. 

해당 행사는 AI 및 창업 교육 전문 기업 멋쟁이사자처럼이 IT 분야로 취·창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지원하는 차원에서 매년 개최된다.

지난 25일부터 무박 2일로 서울시 서초구 양재 aT센터에서 진행된 이번 해커톤은 ‘AI로 다시 뛰는 우리 동네: 지역 경제와 삶을 AI로 연결할 것’이라는 주제로 전국 54개 대학에서 약 1,500여명의 학생들이 참가해 약 250개의 AI 프로덕트를 개발하는 성과를 이뤘다.

대상의 영예는 지역 주차난 문제를 해결하는 AI 서비스 ‘Park Here’를 개발한 한성대학교 '사오정'팀이 차지했다.

수산물 경매 과정을 디지털로 전환하는 ‘어울림’ 서비스를 론칭한 한동대학교 '모범택시'팀, 안산 지역 외국인 이주민들의 의료서비스 이용을 지원하는 ‘메디메이트’를 선보인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코사코사'가 각각 최우수상과 우수상에 선정됐다.

심사는 IT 선도기업 현직자 및 창업가·투자자들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해 ▲AI 활용 적절성 ▲완성도 ▲사업성 부문을 나눠 전문적으로 평가했다.

이번 해커톤에서는 ‘기술, 지역의 경계를 허물다’는 주제로 나성영 멋쟁이사자처럼 대표와 박대희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대표 그리고 양경준 크립톤 대표의 패널토크가 이어졌다.

또 이채린 클라썸 대표·김예인 릴리스AI 공동창업자·김지섭 뤼튼 CoS 등 AI 관련 인사들이 한데 모여 ‘AI 시대의 창업가 정신’에 대한 담론을 나눴다.

나성영 멋쟁이사자처럼 대표는 “이번 해커톤에서 활용된 AI 심사 툴(스냅코드)은 멋쟁이사자처럼 대학 알럼나이가 직접 개발한 결과물이라 더욱 의미가 크다”며 “공정하고 신속한 평가가 가능했던 것은 커뮤니티 내 쌓은 경험과 학습이 AI 리터러시로 이어졌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멋쟁이사자처럼 대학은 단순한 개발 교육을 넘어, AI 리터러시 커뮤니티로서 더 많은 혁신이 탄생할 수 있도록 창업 교육 제공 및 데모데이 개최 등을 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