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서울 광화문 사옥. [사진=뉴스1]
KT 서울 광화문 사옥. [사진=뉴스1]

[한국농어촌방송=임리아 기자] KT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새벽 시간대에 소액결제 피해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가운데,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에 이어 영등포구에서도 의심 신고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 영등포경찰서는 지난달 6일 오후 소액결제로 49만5000원이 빠져나갔다는 KT 가입자의 신고를 접수했다.

피해자는 곧바로 결제를 취소하면서 실제 피해까지 이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KT 통신사를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지난 8일까지 74건(광명 61건·금천구 13건)의 소액결제 피해 사례가 접수됐다. 피해 규모는 광명 3800만원, 금천 780만원 등 총 4580만원이다.

첫 피해는 지난달 27일 접수됐고, 마지막 피해 접수는 지난 5일이었다.

초기에는 지역 기반 악성코드가 숨겨진 앱을 통한 스미싱 가능성이 제기됐으나, 현재까지 관련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다.

일부 피해자들이 카카오톡 메신저에서 강제 로그아웃됐거나 본인인증 서비스 '패스'(PASS) 앱이 통제됐다고 진술한 점도 의문을 키우고 있다.

이에 KT는 지난 8일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고객님이 의심 사례로 KT에 신고하신 사항에 대해서는 확인을 통해 피해 금액이 납부되지 않도록 사전 조치를 하고 있다"고 알렸다.

KT는 지난 6일 소액 결제 한도 축소 등 고객보호 조치에 나선 바 있다.

경찰은 해킹 경로를 분석하기 위해 일부 피해자에 대해 휴대전화 포렌식을 진행하고 KT 등으로부터 관련 자료를 받을 방침이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