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방송=임리아 기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13일 시행된 가운데 국어·수학 영역에서는 변별력 있는 문제가 출제된 것으로 평가됐다. 또 난이도는 지난해 수능과 비슷하거나 조금 어려운 수준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앞서 2026학년도 수능 출제위원장인 김창원 경인교육대학 교수는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내용만으로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정 난이도 문항을 고르게 출제했다"면서 "사교육에서 문제 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에게 유리한 문항을 배제했다"고 밝혔다.
EBS 현장교사단은 국어와 수학영역 시험 종료 후 출제 경향 브리핑에서 이런 경향을 확인했다.
EBS 국어 대표강사인 충남 덕산고 한병훈 교사는 "독서의 난도가 올라갔지만, 문학이나 선택과목의 난도는 낮아졌다"면서 "작년 수능이나 올해 9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평가 사이에서 작년 수능에 약간 근접하고 유사한 난이도를 전체적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EBS 수학 대표강사인 인천 하늘고 심주석 교사는 "수학은 전체적으로 작년 수능과 유사하지만, 상위권 변별력을 확보하기 위한 문항도 적절히 출제된 것으로 보인다"면서 역시 "킬러 문항은 배제됐다"고 설명했다.
입시업체들도 EBS 현장교사단과 평가가 비슷한 평가를 보였다. 종로학원은 국어영역에 대해 "어렵게 출제됐던 올해 9월 모의평가보다는 다소 쉽고 지난해 수능 수준과 비슷하게 출제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대성학원은 "지난해 수능보다는 조금 어렵게, 올해 9월 모의평가와 유사한 난이도로 출제됐다"고 전했다.
수학 영역에 대해서는 먼저 종로학원이 "9월 모의평가나 지난해 수능보다 다소 어렵게 출제됐다"고, 이투스에듀는 "지난해 수능에 비해 약간 어려움을 느낀 학생이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올해 수능 지원자는 55만4174명으로 전년보다 3만1504명(6.0%) 늘면서 2019학년도(59만4924명) 이후 7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