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묘, 벌초 등 가을철 야외활동 시 감염병 예방수칙 철저히 준수할 것
발열, 오한 증상이나 진드기나 설치류에 물린 자국이 있다면 반드시 의료기관 방문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안내 포스터 (사진제공=부산광역시)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안내 포스터 (사진제공=부산광역시)

[한국농어촌방송=정윤희 기자]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가을철이 다가옴에 따라 시민들에게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SFTS) 등 가을철 발열성 매개체 감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추석을 앞두고 벌초, 성묘를 위해 산을 찾는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를 강조했다.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감염되는 열성 질환으로 사람 간 전파는 없고 10~11월에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털진드기에 물린 후 10일 이내에 발열,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진드기에 물린 후 검은 딱지(가피)가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전국에서 연간 6천 명 내외의 환자가 발생하며, 올해 7월까지 전국에서 832명, 부산에서 16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등산, 캠핑, 텃밭작업 등 야외활동을 많이 하는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부산은 감염자 15명(93.8%)이 50대 이상에서 발생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바이러스에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열성 질환으로 환자에 의한 사람 간 전파 가능성도 존재한다. 

4~11월에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감염 2주 이내에 38도(℃) 이상의 고열과 근육통 등과 위장관계(오심, 구토, 설사 등) 증상이 나타난다. 

올해 부산에서의 감염자는 없으나 누적 치명률이 18.7퍼센트(%)(2013~2023년 기준, 전국 통계)로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외에도 감염된 설치류의 배설물에 의해 감염되는 신증후군출혈열, 렙토스피라증 등 설치류 매개 감염병 또한 주의해야 할 가을철 발열성 매개체 감염병이다. 

부산시는 가을철 발열성 매개체 감염병의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이 진드기에 물리지 않고, 설치류 배설물에 접촉하지 않는 것인 만큼, 등산, 캠핑, 텃밭 작업, 성묘, 벌초, 농작업 등 가을철 야외활동을 할 때 진드기·설치류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세부사항 안내 포스터 (사진제공=부산광역시)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세부사항 안내 포스터 (사진제공=부산광역시)

진드기·설치류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은 ▲야외활동 전에는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장 입기(밝은 색 긴소매 옷, 모자, 목수건, 양말, 장갑 등) ▲농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진드기 기피제 사용하기 ▲야외활동 중에는 풀밭에 앉을 때 돗자리 사용하기, 풀 위에 옷 벗어놓지 않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기피제의 효능 지속시간을 고려해 주기적으로 사용하기 ▲야외활동 후에는 귀가 즉시 옷은 털어서 세탁하기, 샤워하면서 몸에 벌레 물린 상처 또는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확인하기, 의심 증상 발생 즉시 의료기관 방문해 진료받기 등이 있다. 

이소라 부산시 시민건강국장은 “추석이 다가오는 가을철 벌초, 성묘, 텃밭 작업 등의 야외활동으로 진드기와 설치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큰 만큼,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주시길 부탁드린다”라며, “야외활동 후 발열, 오한 등 증상이 있거나 진드기나 설치류에 물린 자국이 있다면, 반드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