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방송=임리아 기자] 국제 플라스틱 협약 마지막 협상 회의(INC5)를 한 달여 앞두고, 강력한 플라스틱 협약을 지지하는 전 세계 시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8일 그린피스는 환경부 김완섭 장관에게 강력한 플라스틱 협약을 촉구하는 전 세계 시민 190만 여 명의 서명과 서한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서명에는 한국 시민 2만여 명의 서명이 포함됐다.
이번 서한에는 "법적 구속력이 있는 국제 플라스틱 협약은 플라스틱의 원재료 추출부터 시작해 전체 생애주기를 고려해야 한다"며 "따라서 협약의 범주는 플라스틱 생산 감축을 포함해야 하고, 폐기물 관리에만 치중되면 안된다"는 내용이 담겼다.
그린피스는 "1차 플라스틱 폴리머의 감축 목표를 포함한 성공적 협약 성안을 위해 한국 정부가 개최국이자 우호국 연합(HAC)의 소속 국가로서 목소리를 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 플라스틱 협약은 전 세계 국가의 정책 결정자들이 모여 플라스틱 오염에서 벗어나기 위해 플라스틱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생애주기에 걸친 규칙을 만드는 회의다. 2022년 11월 우루과이에서 첫 회의를 시작했고, 마지막 5차 회의는 올해 11월 부산에서 개최된다.
국제 플라스틱 협약은 플라스틱 감축방안을 두고 '생산 자체를 줄이자'는 주장과 '재활용을 포함해 폐기물 처리에 중점을 두자'는 주장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
그린피스는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해 2040년까지 플라스틱 총 생산량을 75% 이상 감축하는 목표를 국제 플라스틱 협약에 포함해야 한다고 요구해왔다. 이에 반해 플라스틱 생산이 주 수익원인 석유 화학 업계는 협상 회의에 로비스트를 보내는 등 협약 실효성을 약화하기 위한 로비를 펼쳐왔다.
김나라 그린피스 플라스틱 캠페이너는 "협상 회의에서 개최국의 목소리와 영향력은 크다"며 "특히 이번 회의는 마지막 협상으로, 전 세계의 관심이 한국에 집중되고 있다. 환경부의 생산 감축에 대한 입장 표명이 협약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성공적인 협약을 위해서는 강력하고 야심찬 생산 감축 목표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면서 "한국 정부는 '부산으로 가는 다리' 선언문에 동참해 생산 감축 의지를 표명하고 성공적 협약에 기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