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1]

[한국농어촌방송=임리아 기자] 이동통신 3사가 5G보다 비싼 LTE 요금제의 가입을 연내 중단하고 5G와 LTE 통합 요금제를 출시한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통신 3사 최고경영자(CEO)와 만나 가계 통신비 인하를 주문했다. 

유 장관이 통신 3사 CEO와 공식적으로 만난 건 지난 8월 취임 이후 처음이다. 이 자리에서 유 장관은 통신비 부담 완화와 불법 스팸 문제 등 통신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그는 "오늘날 통신업계는 여러 가지 국민적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며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를 비롯해 각종 통신 이용의 편의성 제고를 위한 여러 요구가 있고, 통신을 악용한 신종 불법 행위가 증가하면서 디지털 역기능 해소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고품질 서비스를 합리적인 요금으로 제공하면서 시장 생태계를 건강하게 가꿔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동통신 3사가 최근 5G 요금제 가격을 내리면서 속도가 더 느린 LTE 요금제가 더 비싸지는 'LTE 요금 역전' 문제가 발생했다.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5G 요금이 인하됐지만 1300만명이 쓰는 LTE 요금제가 5G 요금제보다 비싼 현상이 벌어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이날 간담회 후 브리핑에서 "알뜰폰 경쟁력 강화를 위해 통신3사가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KT는 내년도 1분기까지 5G-LTE 통합요금제를 시행하기로 했다"며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전산시스템 개편이 완료되는 대로 조속한 시일 내로 통합요금제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농어촌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